LG Sciencepark LG Sciencepark

전체메뉴 열기(Open menu)

영상

[공대선배 Off the Record EP.1] 현직자가 알려주는 2024년을 대표할 기술!

  • 링크드인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카카오톡 바로가기
[하이라이트] (학생) 처음부터 목표가 LG셨나요? (공대선배) (기침) (학생) 무조건 유플러스 써야해요? (공대선배) 공짜예요 (학생) Life is Good [인터뷰 – 연세대학교] (양진호/연세대)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과에 재학중인 양진호입니다. (서현채/연세대) 안녕하세요. 신소재공학과 4학년 서현채입니다. (PD) 오늘 혹시 어떻게 출연하게 되셨나요? (양진호/연세대) 2024년 기술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공대 선배님들을 만나러 왔습니다. (PD) 이번 콘텐츠의 주제는 2024년을 대표할 기술인데요. 다른 공대 선배님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러 가려고 하는데 괜찮으신가요? (양진호/연세대) 네, 이동하겠습니다 하나, 둘, 셋! 이름이 어떻게 되시나요? (학생) 저는 장카샤나라고 합니다 (양진호/연세대) 2024년 기술 트렌드에 대해서 떠오르는 게 있으신가요? (학생1) Large Language Models, LLM. ChatGPT 같은 LLM이나 DALL-E 같은 비전 모델들이 아마 올해 제일 중요한 기술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학생2) 인공지능 전공하고 있고 지금 인공지능 대학원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현채/연세대) 2024년을 대표할 기술 트렌드는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학생2) 작년이랑 똑같이 LLM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리고 LLM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게 트렌드라고 생각합니다. (양진호/연세대) 기술 트렌드 하면 떠올리시는 게 있나요? (학생3) 2024년 트렌드는 바이오 기술 쪽이 좀 뜰거 같아요. 비만치료제 이런 거 핫하잖아요. 제가 좀 살이 많이 찌기도 했고 (양진호/연세대) 네.. 아니에요!! (학생3) 아무튼 그런 바이오 기술이 좀 뜨지 않을까 (학생4) 나이가 좀 있다 보니까 머리숱 관련된 고민이 좀 많아요. 그런 분야들이 좀 많이 활성화됐으면 좋겠습니다. (서현채/연세대) 여러 얘기들을 들어보니 얼른 LG 사이언스파크 선배님들 만나서 얘기 들어보고 싶어지는데요? 그럼 가볼까요? (양진호/연세대) 이동할까요? (양진호, 서현채) 하나 둘 셋 [토크 – 마곡] (다 같이) 안녕하세요~ (신윤호/LG U+) 여기 어쩐 일이세요? (서현채/연세대) 들어오고 싶게 생겨가지고 (신윤호/LG U+) 잘 오셨어요 반갑습니다. 오늘 오신 진짜 목적이 무엇인가요? (양진호/연세대) 2024년도가 새해가 밝았죠? 그래가지고 기술 트렌드에 대해서 알고자 공대 선배님들을 뵈러 왔습니다. (신윤호/LG U+) 잘하셨어요 (양진호/연세대) 혹시 선배님들이 생각하는 2024년 기술 트렌드는 뭐가 있을까요? (신윤호/LG U+) 여러분들도 다 CHAT GPT는 아시잖아요? CHAT GPT가 처음 공개된 게 챗봇 형태로 공개가 됐는데 지금은 그게 어느 정도 발전이 돼서 이미지를 넣고도 이미지에 대해서도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형태가 되었고 그게 더 발전돼서 앞으로 오디오라든가 비디오라든가 더 모달리티를 넓히는 방향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민지/LG디스플레이) 사실은 CES 이번 주제가 All Together All In이었어요. 그래서 전 사업에서 AI 기술이 얼마만큼 접목되어 있는지가 핵심이었는데요. 소프트웨어적으로 AI가 디지털 세계와 현실 세계를 연결시켜줬다면 하드웨어적으로도 앞으로 연결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이번에 CES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냈어요. 정말 투명한 기판에다가 화석 픽셀들을 배치를 시켜서 실제로 유리 같지만 TV의 기능도 할 수 있는 그런 기술이 좀 대두 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서현채/연세대) 설명만 들었을 땐 되게 미래스러운 느낌이 드는데 이런 기술들이 언제쯤 상용화가 될까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사실 지금도 계속 상용화를 준비를 하고 있고요. 보통 사이니지 제품에 많이 들어갔었는데 이번에 나올 제품은 일반 소비자들도 살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될 것 같습니다 (서현채/연세대) 그럼 선배님들이 일하시는 곳의 주요 기술 딱 한 가지만 정해서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신윤호/LG U+) 이 팀의 이름이 비전기술팀이에요. 이미지나 비디오를 처리하는 AI 기술을 만드는 팀이고 멀티 모달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해서 저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학습시켜서 고객한테 최적화된 요금들을 추천해 준다던가 그런 식으로 제공을 하려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민지/LG디스플레이) 저희 LG 디스플레이의 주요 기술은 아무래도 OLED 기술인데요. TV에서는 좀 초대형 사이즈로 만들 수 있는 그런 와이트 OLED 기술을 하고 있고 그리고 소형에서는 POLED 기술을 하고 있어요. 사실 마이크로 LED라고 해서 정말 칩을 마이크로 단위로 만들고 있거든요. 근데 그걸 하면 이점이 뭐냐면 베젤이 없어요. 타일 붙이듯이 여러 개를 쫙 붙일 수 있어요. 그래서 벽면 가득 디스플레이를 채울 수 있고 제가 원하는 디자인에다가 그걸 넣어서 편하게 보일 수 있고 많이 하고 있으니까 관심 있으시면.. (신윤호/LG U+) 또 궁금한 게 있으세요? (서현채/연세대) 철저하게 제 3자의 관점으로 봤을 때 회사의 기술력은 어떤 것 같으신가요? (신윤호/LG U+) 먼저 답변하시겠어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저희 회사의 기술력이 ㅇㅇㅇ 이렇게 보고 있어요.. (신윤호/LG U+) 제가 답변을 드리면, 근데 뭐 좋지 않을까? 제 핸드폰이 잘 터지는 거 보니까 (양진호/연세대) 어 유플러스세요? (신윤호/LG U+) 네 저희 회사 임직원은 다 유플러스 씁니다 (양진호/연세대) 아 무조건 유플러스 써야 돼요? (신윤호/LG U+) 무조건은 아니고 그 공짜예요. (서현채/연세대) 아아 웬만하면 써야겠네요 (양진호/연세대) 웬만하면.. (신윤호/LG U+) AI 측면에서 말씀을 드리면 아직도 이제 최고의 AI 기업이라고 생각은 안 하는데 최선의 속도로 쫓아가고 있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올해 저희 조직의 큰 목표는 초거대 모델 기반의 생성형 AI인 익시젠을 출시하는 게 가장 큰 목표이고 이를 위해서 저희가 애자일하게 일하는 방식을 통해서 열심히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양진호/연세대) 멋지시군요 (신윤호/LG U+) 감사합니다 (서현채/연세대) 그럼 다른 경쟁사 봤을 때 이 기술 좀 탐난다, 뺏어오고 싶다 한 그런 기술도 있었어요? (신윤호/LG U+) 저는 경쟁사.. 나머지 통신사에서 가져오고 싶은 건 별로 없는 것 같고 (양진호/연세대) 오.. 자신감 (신윤호/LG U+) 그들도.. 잘하나? 그거보다는 통신 시장은 고였잖아요. 레드오션이 된 지가 엄청 오래됐고 그러면 결국 통신이 아닌 비통신 분야에서 사업을 많이 해야 되는데 대표적인 것 중에 스포키. 스포키가 뭐냐면 스포츠 플랫폼이에요. 축구, 야구 이런 스포츠를 스트리밍해서 서비스를 하고 최근에 저희가 컨텐츠 부문을 새로 만들었어요. 그런 식으로 비통신 분야에서 매출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다 취업에 관심이 있으신 거죠? (서현채/연세대) 일단 취업 전에 저는 혹시 최종 학력 한번 여쭤봐도 될까요? (신윤호/LG U+) 저희는 둘 다 석사 졸업을 했습니다 (서현채/연세대) 석사까지 하고 왔을 때 메리트가 있나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어떤 아이디어를 냈을 때 이걸 어떻게 기술을 발전시킬지에 대한 그런 프로세스들을 이해하는데 되게 저는 도움이 많이 됐거든요. 어떻게 정리를 하고 데이터는 어떻게 분석을 하고 그리고 그 분석한 걸 어떻게 보고할지에 대해서 대학원 때 많이 배웠던 것 같아요. 물론 많은 인고의 시간이었지만.. 학사가 아예 없진 않거든요. 계속 반복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니까 적응하기 어렵다 이런 건 또 아닌 것 같아요. (서현채/연세대) 취업 생각하실 때 처음부터 목표가 LG셨나요? (신윤호/LG U+) ㅇㅇㅇ 회사도 생각하고 근데 이거는 저희 연구실 선배들이 LG전자는 되게 많이 갔었는데 LG유플러스는 한 번도 없는 거예요. 뭘 하는지 알 수가 없는 거예요. 이 신비로운 미지의 세계 그것 때문에 약간 당했죠. (이민지/LG디스플레이) 여기 LG로 선택하게 된 이유는 근무지가 아무래도 서울이니까 (신윤호/LG U+) 근무지의 큰 메리트가 있죠. 자취하지 않더라도 약간 수도권에 계시는 분들을 위해서 셔틀버스가 거의 다 다니거든요. 뭐 인천 뭐 광기도, 서울도 구석구석 다 다니니까 마곡까지 오는 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서현채/연세대) 출퇴근 시간은 좀 규칙적인 편인가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저희는 유연근무제를 할 수가 있어요. 가끔은 일이 있다면 2시에 퇴근할 때도 있고 물론 다른 날 야근을 해야 되지만 (신윤호/LG U+) 2시도 돼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네 저희는.. (신윤호/LG U+) 코어 타임이 없어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저희는 코어 타임이 없어요 (신윤호/LG U+) 뭐 나름 저희의 자랑은 이제 야근비를 30분 단위로 다 준다 (양진호/연세대) 오 30분 단위로? (이민지/LG디스플레이) LG라고 다 그러진 않는 것 같아요 (신윤호/LG U+) 오늘 이 시간에 대한 소감을 한 마디씩 듣고 싶습니다 (서현채/연세대) 오늘 이렇게 와서 여러 가지 질문도 하고 특히 사적인 질문들도 좀 했잖아요. 거기에 대해서 솔직하게 답변을 주시고 전반적인 회사 생활이나 기술들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셔서 너무 도움이 됐습니다. (양진호/연세대) 여기 LG 사이언스파크 영상으로만 보다가 실제로 와가지고 진짜 신기했고요. 어디에서도 듣지 못하는 조언들을 마음에 새기고 가겠습니다. (신윤호/LG U+) 저도 일단은 전역 후 3학년 정도로 돌아가고 싶다 생각할 정도로 여러분들의 생활이 좀 즐거워 보였고 오늘 얘기하면서 제가 오히려 공부가 된 것 같아서 여러분들한테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양진호/연세대) 감동입니다 (이민지/LG디스플레이) 저희가 이거 준비하면서 같이 공부를 할 수 있어서 되게 좋은 기회였던 것 같아요. 회사에서 한번 뵀으면 좋겠네요. (양진호/연세대) 너무 좋죠 (신윤호/LG U+) 오세요 (양진호, 서현채/연세대)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신윤호/LG U+) 우리 다 같이 고생했는데요 (신윤호/LG U+) 엄청 유명하지 않으니까.. (PD) 자세 조금만.. (양진호/연세대) 알겠습니다. 밀어낸다 밀어낸다 밀어낸다 (신윤호/LG U+) 간식 때문에 가까워지는 거 아니에요? (양진호/연세대) 네? (신윤호/LG U+) 간식 때문에 가까워지는 거 아니에요? 조금 더 앞으로 하겠습니다 (양진호/연세대) 왜 아무도 안드시는지.. (신윤호/LG U+) 많이 드세요. 많이 드세요 (이민지/LG디스플레이) 뭔가 많이 없어지면 또 안 될 것 같은데

인공지능? LLM? 바이오? 다양한 기술들 중에서 2024년을 관통할 기술트렌드는 무엇일까?! 
이공계 후배들의 당돌한 질문과 선배들의 솔직 담백한 이야기
LG사이언스파크 '공대선배 Off the Record' Tech Trend 편